치과이야기

구강건조증 - 입이 말라요 (치료, 예방법)

innl 2023. 1. 21. 08:00
728x90

  

구강건조증

일반적으로 병이나 질환이라고 하지 않고 복합적인 원인에서 오는 증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타액이 줄어듦으로 해서 생활하는데 많은 불편이 나타나게 됩니다.

이에 따른 치료방법은 원인에 대한 직접적인 치료와 증상을 완화시키는 치료가 같이 시행되어야 좋은 치료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구강건조증 원인

  1. 일시적인 원인

       - 약물치료 중의 부작용으로 흔하게 볼 수 있습니다. (감기약, 진정제, 고혈압제제)

       - 설사나 구토, 과다한 발한, 고열 등으로 인해 몸 안의 수분이 빠져나감으로써 타액의 분비가 줄어듭니다.

       - 일시적인 타액선염, 타석증으로 인해 타액의 분비가 줄어드는 경우

 

  2. 만성적인 원인

       -  선천적인 타액선의 이상

        - 영양결핍의 원인으로 생기는 만성적인 타액선염

        - 당뇨, 비타민 결핍, 철결핍, 노화에 따른 타액선의 위축

        - 장기간 방사선치료를 받은 경우

        - 타액선에 직접적인 손상을 받은 경우

        - 우울증, 스트레스 같은 정신적인 장애

 

특징적으로 40대 여성에게 빈번하게 나타나는 구강건조 증후군은 구강의 건조, 눈의 건조, 관절염의 3개 증후군이 같이 나타나며, 특히, 구강 내 조직의 통증과 타는 듯한 느낌의 작열감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구강건조증 증상

구강내 조직이 건조해지고 타는 듯한 작열감이 나타납니다.

혀는 갈라지고, 치아는 다발성 우식증에 생길 가능성이 높으며, 치주질환, 캔디다균의 감염, 구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음식물을 삼키기가 어렵고, 음식의 맛을 느낄 수 없으며, 발음장애 등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구강건조증 치료

원인을 찾아서 치료 가능한 부분이면, 해결이 가능하지만, 만성적인 경우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대증적인 방법으로 설명드립니다.

  1. 무설탕 껌 씹기 ( 씹는 운동을 해서 타액 분비를 증진 & 타액을 치아주위로 골고루 전달 )
  2. 타액 대치액 사용 
  3. 비타민, 호르몬 제제 투약
  4. 약처방 ( 타액선 자극하는 약제 )

구강건조증 예방법

환자들의 스스로의 관리가 가장 중요합니다! 

  1. 자주 수분을 섭취한다.
  2. 꼼꼼한 칫솔질
  3. 자극이 강한 음식, 술, 담배를 피한다.